-
총알의 위력을 높히기 위해 총기의 강선이 필요할까요?개인화기,군용품 2023. 3. 6. 19:58
게임 스나이퍼 엘리트는 특유의 저격 애니메이션으로 굉장히 유명한 게임이죠 신체의 치명적인 데미지를 주는 곳에 저격을 성공하면 탄도가 날아가는 모습을 슬로우 모션으로 드라마틱하게 보여주는데 이때 탄도가 회전하는 모습을 잘 보여줍니다.
다소 과장되 보이지만 영화 매트릭스나 원티드를 보시면 탄도가 회전하는 모습을 극단적으로 보여주는데요 이렇게 탄도가 회전하는 것이 어떠한 이점이 있을까요? 많은 사람들이 말하듯 관통력을 높여주기 위함일까요? 강선의 총열 안쪽에 나 있는 나선형 홈을 말합니다 총알이 격발되면서 발생하는 가스로 탄두는 총열을 따라 나아가는데 이 강선이 탄도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강선은 탄도를 일정하게 회전시키기 위해서 높은 정밀도로 균일한 깊이와 균일한 간격으로 가공이 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이유에서 과거에는 그 나라의 공업력의 척도를 강선을 사용하는 라이플을 대량으로 양산이 가능한가를 두고 판단하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그렇게 만들기도 까다로운 강선을 굳이 탄두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총열에 새겨 넣는 이유가 뭘까요? 세간에 널리 알려져 있는 탄두에 회전력을 주어 마치 드릴 같이 총알의 관통력을 높이는 용도는 정말 크게 잘못 알려져 있는 사실입니다 탄두의 회전은 총알의 위력을 높이는데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탄두가 회전하면서 얻는 이점은 탄두의 회전관성을 부여하여 공기저항을 비롯한 외부의 요인에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하여 안정된 탄두를 가지게 만드는 것입니다.
강선의 수가 늘수록 탄두의 회전량이 늘어나는데 필요 이상의 회전이 가해지면 오히려 주변 환경에 민감해져서 탄두가 불규칙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딱 필요한 만큼만의 회전력을 가해야 하며 보통 탄환이 무거울수록 그리고 구경이 클수록 강선의 수가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탄두가 안정적이어서 안 좋을리가 없죠 때문에 오늘날 총기를 비롯한 대부분의 화기에는 강선이 적용되지만 여러개의 금속구슬을 발사하는 샷건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강선과 궁합이 좋지 않은 날개 안전분리 철갑탄에 발사하는 현대 전차포에서는 강선이 예외적으로 쓰이지 않고 있습니다.
강선의 개발 이후 화기의 유효사거리는 비약적으로 늘어났으며 이 때문에 더 멀리 있는 적을 조준할 수 있도록 망원조준경과 장거리용 탄환의 개발로 이어지고 탄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수학적으로 계산하는 탄두학의 발전까지 이어질 수 있게 된 것입니다.
방금 전에 잠깐 언급한 회전력이 탄두의 위력을 증가시킨다는 오해가 널리 알려지게 된 요인으로는 아마 일본의 유명 복싱만화 더 파이팅에서 코크스크류 블로우가 묘사된 방식이 크게 작용하였을 듯한데요 역시나 팔과 손목 좀 돌린다고 위력이 증가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주먹을 뻗는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카운터 맞기 딱 좋죠.
이상으로 강선과 탄두가 회전하는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개인화기,군용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M60을 대체할 만한 최신 기관총은 K16 기관총입니다. (0) 2024.12.23 총이라 부르기도 민망한 최악의 총기 FP45 리버레이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2023.03.07 오스트리아 시계장인이 만든 세계에서 가장 크기가 작은 총기인 콜리브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2023.03.07 적의 탱크를 잡기위해 쓰인 대전차화기 거대한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2023.03.06 MP5SD소음기관단총과 대등한 수준의 성능을 내는 가성비 좋은 명품 국산 'K7소음기관단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 2023.02.12